ARTICLE

[청소년기자 광장] 이론은 그만! 체험하는 진로교육 없나요?

▲ 청소년들은 일선 학교에서 실시하는 진로교육이 체험 위주로 업그레이드 되기를 원한다. 부산일보 DB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진로교육을 원해요!

 

청소년 시절은 인생의 진로를 정하는 중요한 시기다. 그만큼 고민도 깊다. 진로에 대한 청소년들의 고민이 깊은 만큼 관련 교육프로그램도 활성화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이론 위주의 형식적인 교육에 머물고 있다는 지적이다. 당사자인 청소년들 또한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고등학교의 경우 진로교육이 대학 입시 위주로 흐르고 있다. 학교별로 다양하고 복잡해진 대입 전형 방법에 대한 정보만 많을 뿐이다. 고교생들이 가장 먼저 정해야 할 전공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가 부족하다. 그 바람에 아직 진로를 확실히 정하지 못한 학생들도 많다. 직업의 다양성이나 내용을 알지 못해 더욱 고민이 많다는 분위기다.  


1년에 한 번씩 시행되는 진로 적성 검사에 대해서도 정확성과 신뢰성에 의문을 표하는 학생들이 대부분이다. 


경원고 2학년 J양은 "진로 적성 검사가 평소 자신이 알고 있던 자신의 성향과 많이 다른 것 같다"고 말했다.  


경원고등학교 2학년 H양도 "현재의 형식적이고 이론적인 교육보다는 좀 더 실용적이며 직업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원한다. 선생님들이 모든 직업군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없으니 현장에서 활동하는 직업인들의 강연을 통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고 싶다"고 밝혔다.  


같은 학교 2학년 P양도 "다양한 진로 활동을 직접 경험해 보면서 적성을 찾고 싶다"고 했다. 


진로교육은 대학입시를 넘어 직업의 세계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진로교육이 실제 직업 세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장안고 2학년 S군은 "다양한 진로에 대해서 체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는데 계속 소극적인 활동만 하는 게 만족스럽지 않다"고 지적했다.  


성모여고 2학년 K양은 "진로 포트폴리오를 통해 자신의 적성을 찾기란 매우 힘들다"며"직접 체험하며 적성을 찾고 싶다"고 밝혔다.  


개성고 2학년 C양은"현재의 진로 수업시간이 부족하다"며"진로 수업시간을 늘렸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박소정  
 

청소년기자  

 

경원고 2년